에너지시스템학과는 파리협정에 따른 신기후체제의 예고와 풍부한 청정에너지 기반의 행복과 웰빙을 추구하는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신에너지시스템의 개발 및 에너지시스템의 청정화와 관련된
융합학문, 산업, 및 정책개발 분야에 필요한 미래 지향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에너지시스템은 수소에너지, 태양에너지 등의 신에너지원을 이용하는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변환과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이차전지 등 에너지저장과 관련된 과학・공학의 포괄적 지식을 융합하는 학문입니다.
에너지시스템학과에서는 지구환경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 위에 미래기술인 에너지시스템 학문에 대한 전문지식 및
실무기술을 학습함으로써 청정에너지 분야의 창의적 융합인재가 되도록 미디어랩스대학의 혁신적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에너지시스템학과는 에너지공학 분야를 특성화하여 건물에너지이용 및 설계 기술(공조 및 냉난방 기술 분야), 수송에너지 이용 및 설계
기술(자동차 및 연소기술 분야), 미래형 청정에너지 및 친환경 에너지 활용 기술(연료전지, 수소에너지, 태양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기술 분야), 발전 에너지 이용 및 설계 기술(산업 플랜트 및 열동력 분야), 추진 에너지 이용 및 설계기술(우주항공 에너지 분야)등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 분야 및 에너지 환경 분야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21세기 주도형 융합기술(Fusion Technology)을 주도할
미래지향적 실용공학인을 양성 하고 있다.
지구상의 한정된 에너지자원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래를 무한 상상할 수
있고, 언제든지 새로운 것을 향하여
도전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를 양성한다.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 문제는
광범위한 전문 분야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꿰뚫어 볼 수 있는 폭넓은
시야 및 특정 분야에서의 전문적 기술을
겸비한 에너지 전문가만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에너지시스템학과는 다음과 같은
자질을 가진 인재 양성을 추구합니다.
첫째
지구환경의 지속성, 신에너지시스템 등과
같이 전공의 대상이 되는 각 연구 영역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인재
-
둘째
전문 분야를 스스로 확립할 수 있고 전문
영역에 한정되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 유연성을 가지며 책임감을 가지고
문제 해결에 임하는 의욕적인 인재
-
셋째
스스로 생각하여 행동할 수 있는 능력과
타인과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하며
국내 및 국외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춘 인재
-
넷째
논리적이고 유연한 사고력, 풍부한 감성,
인간과 자연에 대해 겸손한 탐구심을 가진 인재
에너지공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변환전공을 분리하여 학부제로
운영하는 학과는 우리학부가 유일하다.
-
에너지공학은 전기, 전자, 재료,
물리, 화학 등 모든 공학분야에 기초를 둔
융합학문이기 때문에 두 가지 심화전공의
상호 연계된 교육을 받아
보다 넓은 지식과 비전을 기반으로
에너지 전문가가 될 수 있다.
물리/화학/수학 관련 동아리 활동
컴퓨터 관련 동아리 활동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산업기사,
에너지관리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에너지진단사
에너지관련 기업체(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한화 등),
국책연구기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에너지시험원,
에너지진단전문가, 기후변화전문가
연구분야 이차전지, 전기화학적 에너지 창출 기술, 나노 영역의 분석기법 SPM을 이용한 고체/액체 계면현상 해석 기술
연구분야 유/무기 태양전지 소재 합성 및 소자 개발, 유무기 반도체 재료/소자 개발 및 성능 평가
연구분야 차세대이차전지, Metal-air battery 및 Water-splitting 전기화학촉매, 고체고분자전해질, 나노소재 합성 기술, 이차전지 안전성 평가법 연구
연구분야 저온형 연료전지 및 슈퍼커패시터, 리튬이온전지 나노 전극 소재, 분리막 소재, 유무기 복합 소재, 전기화학 거동특성/해석 및 전기화학 평가
연구분야 생체모사 고분자 나노구조체, 고분자 및 하이브리드 필름 구조제어, 자기조립기반 나노구조체 합성, 고분자 패터닝, 축전식 해수담수화 및 에너지저장 시스템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
전공 교과목 | |
대학화학I,II | |
대학화학실험 | |
대학물리학I,II | |
대학물리학실험I,II | |
신재생에너지개론 | |
미적분학 |
전공 교과목 | |
앙뜨레프레너십인사이드 | |
공업수학 | |
컴퓨터활용 | |
물리화학I,II | |
유기화학I,II | |
에너지기초실험I,II | |
에너지재료개론 | |
에너지양론 | |
기기분석 |
전공 교과목 | |
에너지열역학 | |
에너지응용실험I,II | |
고분자공학 | |
전기화학 | |
수소에너지 | |
에너지연구설계I,II | |
에너지반응공학 | |
이차전지공학 | |
태양광에너지 | |
전달현상 |
전공 교과목 | |
에너지종합설계I,II | |
원자력안전공학 | |
에너지소자공정 | |
과학적논문작성 | |
디스플레이공학 | |
현장실습(인턴쉽I,II,III) | |
에너지유체역학 | |
신뢰성공학 | |
핵화학및재료 | |
발전플랜트공학 | |
에너지기술정책 | |
유기금속화학 | |
전공세미나 |